언어규범

《봄바람》은 [봄빠람], 《된바람》은 [된바람], 왜? -막힘소리끼우기-

우리 말에서 모음이나 울림소리자음 [ㅁ, ㄴ, ㅇ, ㄹ]뒤에 온 순한소리는 보통 순한소리 그대로 발음되는데 《김치국》[김치], 《봄빛》[봄], 《산기슭》[산슥], 《강가》[강], 《길거리》[길리]와 같이 뒤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은 단어의 구성요소들사이에서 《막힘소리끼우기》가 일어나기때문입니다.

여기서는 막힘소리끼우기란 어떤 현상이며 주로 어떤 경우에 일어나는가 하는데 대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사이소리와 막힘소리끼우기

우리 말 단어를 발음할 때 다음의 실례에 보는것처럼 원래는 없던 소리가 끼여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ㄱ. 바다가 [ 바다 + () + 가 → 바다까 ]

ㄴ. 뒤마을 [ 뒤 + () + 마을 → 뒨마을 ]

ㄷ. 앞일 [ 압 + + 일 → 암닐 ]

우의 실례에서는 두 요소사이에 원래 없던 막힘소리([ㄷ] 같은 소리)와 [ㄴ]이 끼워났습니다. 전통적으로는 ㄱ, ㄴ에서와 같은 막힘소리를 사이에 덧나는 소리라는 의미에서 《사이소리》라고 하여왔습니다. 일부 견해에서는 ㄷ에서 덧난 [ㄴ]도 사이소리에 포함시키기도 합니다.

현재 우리 나라 언어규범에서는 ㄱ, ㄴ과 같이 일종의 막힘소리가 덧나는 경우를 《막힘소리끼우기》, ㄷ과 같이 [ㄴ]소리가 덧나는 경우를 《[ㄴ]소리끼우기》라고 부르고있습니다.

막힘소리끼우기는 우의 ㄱ과 같이 뒤소리가 된소리로 되는 경우가 있고 ㄴ과 같이 막힘소리자체가 소리닮기에 의하여 [ㄴ] 비슷한 소리로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뒤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경우: 아래배[아래], 아래사람[아래람]

- 막힘소리자체가 [ㄴ] 비슷하게 바뀌는 경우: 아래몸[아몸], 아래이[아니]([ㄴ]소리끼우기도 일어남)

막힘소리끼우기는 어떤 경우에 일어나는가?

막힘소리끼우기는 단어를 구성하는 두 요소사이에서 일어나는데 대체로 두 요소들이 규정적(規定的)인 관계에 놓일 때 일어납니다. 이때 《규정적인 관계》라는 말은 앞요소가 뒤요소를 시공간적으로나 속성적인 의미로 규정하여주는 관계 같은것을 말합니다.

때문에 구성요소로 갈라지지 않는 단어에서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 구성요소로 갈라지지 않는 경우: 감방(監房), 질병(疾病), 겸상(兼床)

- 구성요소로 갈라지는 경우: 세+방(貰房)[세], 위+병(胃病)[위], 잔치+상(--床)[잔치]

두 요소가 병렬적(並列的)관계에 놓인 단어에서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 병렬적관계 (A + B): 비바람(비와 바람), 술밥(술과 밥)

- 규정적관계 (A → B): 비바람(비를 머금은 바람)[비람], 술밥(술을 빚고 남은 찌끼)[술]

막힘소리끼우기는 대체로 두 요소가 모두 명사적인 요소일 때 일어납니다. 따라서 관형사적인 요소나 규정형적인 요소가 앞에 온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 명사적요소+ : 봄빛[봄], 노을빛[노을]

- 관형사적요소+, 규정형적요소+ : 새빛[새빋], 노란빛[노란빋]

※ 《노란빛》, 《검은빛》 같은것을 [삗]으로 발음되는것으로 서술한 사전들도 더러 있으나 [빋]으로 발음하는것이 원칙임.

막힘소리끼우기는 그 단어가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가 하는데 따라 똑같은 조건에서도 일어나기도 하고 일어나지 않기도 합니다.

단어 《나무배》(나무 + 배)

- 나무로 만든 배: [나무배]

- 나무를 실어나르는 배: [나무]

단어 《나무집》(나무 + 집)

- 나무로 만든 집: [나무집] (기와집, 초가집 같은것도)

- 가령 [나무]으로 발음한다면 《나무와 어떤 련관이 있는 집(뗼나무를 파는 집 등)》의 뜻이 됨.

막힘소리끼우기가 일어나는 대표적인 요소들

이처럼 막힘소리끼우기는 그것이 표기에 반영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을뿐아니라 어떤 요소가 나타내는 뜻에 따라 일어나기도 하고 일어나지 않기도 해서 참으로 복잡하고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현상입니다.

막힘소리끼우기가 이렇듯 복잡한 현상이기때문에 앞서 말한바와 같이 우리 나라 사람들사이에서도 막힘소리를 제대로 내지 않거나 또 필요이상으로 끼워내는 현상도 나타나고있습니다. 또 경향적으로 볼 때 예전에는 막힘소리끼우기가 일어나던 단어를 막힘소리를 끼워내지 않고 발음하는 등 막힘소리끼우기자체가 점점 소극화되여가고있으며 그러한 사정으로 하여 어떤 경우에 막힘소리끼우기를 하여 발음하겠는가 하는 규범자체도 세월과 더불어 계속 변화를 겪고있습니다.

다만 현재 막힘소리끼우기는 그것이 자주 일어나는 대표적인 요소들을 정리해볼수 있습니다. 때문에 이러한 요소들에 대하여 잘 안다면 뜻에 맞게 정확하게 발음하는데 도움이 될것입니다.

분량상관계로 그것을 여기서 다 보여주기 어려우므로 여기서는 몇몇 실례만 소개하고 나머지는 앞으로 다른 글들을 통하여 차례로 소개하기로 하겠습니다. 막힘소리끼우기가 자주 일어나는 요소들중에는 다른 요소의 앞에 붙는것과 다른 요소의 뒤에 붙는것이 있는데 여기서는 다른 요소의 뒤에 붙어 앞요소와의 사이에 막힘소리끼우기가 일어나는것가운데서 몇개만 보기로 합시다.

- + 가루(粉): 고추가루[고추까루], 금가루[금까루], 밀가루[밀까루], 사탕가루[사탕까루] …

- + (道): 갈림길[갈림낄], 기차길[기차낄], 논길[논낄], 비탈길[비탈낄] …

- + 덩어리: 고기덩어리[고기떵어리], 금덩어리[금떵어리], 땅덩어리[땅떵어리] …

- + (部屋): 살림방[살림빵], 구두방[구두빵], 안방[안빵], 온돌방[온돌빵] …

- + 주머니: 바지주머니[바지쭈머니], 신발주머니[신발쭈머니], 천주머니[천쭈머니] …